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6

기획자를 위한 UI/UX 기본기: 비전공자도 알 수 있는 7가지 핵심 UI/UX는 책으로만 배우면 추상적인 개념처럼 느껴집니다. 저도 처음엔 “UI는 버튼 모양, UX는 사용자 경험” 정도로만 생각했죠. 하지만 실제 프로젝트를 하면서 깨달은 건, UI/UX는 추상적인 철학이 아니라 구체적인 협업 언어라는 점이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비전공자 기획자인 제가 현장에서 부딪히며 알게 된 UI/UX 이해법 7가지를 정리해 보겠습니다.1) 예쁘다고 좋은 게 아니라, 헷갈리지 않는 게 좋은 UI한 번은 신규 가입 화면을 만들 때 디자이너가 멋진 애니메이션을 넣어주셨습니다. 그런데 QA 단계에서 “이 버튼 눌러도 진행되는 거 맞아요?”라는 질문이 계속 나왔습니다. 그때 깨달았죠. UI의 기준은 아름다움이 아니라 명확성이라는 것을. 결국 애니메이션을 줄이고, 버튼 색과 문구를 단순하게 .. 2025. 9. 10.
비전공자도 쉽게 배우는 피그마: 기획자 실무 활용 A to Z 저는 피그마(Figma)를 처음부터 “그림 그리는 툴”로 보진 않았어요. 오히려 요구사항을 시각화하고 팀이 같은 화면을 보게 만드는 협업 도구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피그마를 기획자가 어떻게 써야 일이 빨라지는가”에 초점을 맞춰, 제가 실무에서 굴리며 다듬은 루틴과 템플릿을 공유해 보려고 합니다.1) 문서보다 먼저, 한 화면에서 합의 만들기기획서가 아무리 정교해도 회의 때 서로 다른 화면을 떠올리면 합의가 늦어지더라고요. 그래서 저는 피그마 한 화면에서 흐름·요구사항·제약을 동시에 보여주는 방식으로 시작합니다.Flow 페이지: 사용자 여정(진입 → 행동 → 결과)을 간단한 박스와 화살표로 먼저 그립니다. 이름은 “F-01 가입 플로우”처럼 접두어로 정렬 가능하게.Wire 페이지: 플로우.. 2025. 9. 2.
비전공자 기획자가 되기 전 알았더라면 좋았을 5가지 서비스 기획자로 일한 시간을 돌이켜보면 비전공자로서 IT 업계에 첫발을 내딛던 그때, “아, 이건 좀 미리 알았으면 덜 헤맸을 텐데” 싶은 것들이 참 많아요. 그래서 오늘은 제가 비전공자로서 기획자가 되기 전에 알았으면 좋았을 5가지를 이야기해볼까 해요. 기획자를 꿈꾸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1. 기획자는 ‘생각 정리’의 프로여야 한다처음 입사했을 때, 저는 기획자라면 화면 설계서를 멋지게 만드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물론 그것도 중요하지만 기획자의 본질은 생각을 명확하게 정리하고 전달하는 능력이더라고요.예를 들어, 팀 회의에서 “이 기능을 왜 넣어야 하는지”를 바로 바로 설명해야 할 때가 많아요. 이때 논리가 흐트러지면 개발자도, 디자이너도 설득되지 않습니다. 저도 초반에는 “좋.. 2025. 8. 21.
비전공자 기획자의 피그마 활용기 – 와이어프레임에서 프로토타입까지 서비스 기획자라면 ‘화면 설계’는 필수 역량입니다. 예전에는 파워포인트나 엑셀로 화면 구성을 그렸지만, 요즘은 피그마(Figma)가 사실상 표준 툴이 되었습니다. 저는 디자인 전공도, UI/UX 경험도 없었지만 피그마를 익히면서 와이어프레임부터 프로토타입까지 혼자 제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가 피그마를 활용해 기획안을 구현한 실제 경험과 팁을 공유합니다.1. 피그마를 선택한 이유처음에는 ‘굳이 디자인 툴까지 배워야 하나’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하지만 피그마의 장점은 분명했습니다. 클라우드 기반이라 설치 없이 브라우저에서 실행 가능하고, 실시간 협업 기능 덕분에 디자이너·개발자와 함께 즉시 피드백을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무료 버전도 웬만한 기획 업무에 충분했습니다.2. 와이어프.. 2025. 8. 16.
비전공자 기획자의 AI 활용기 – 업무 효율 3배 올리기 최근 IT 업계에서는 AI 도구 활용이 필수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저는 비전공자 서비스 기획자이지만, ChatGPT, Claude, Midjourney 같은 AI를 적극적으로 업무에 도입해 생산성을 크게 높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로 제가 AI를 기획 업무에 어떻게 활용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느낀 장단점을 정리해 보겠습니다.1. AI 도입 전의 문제점기획 업무를 하다 보면 단순 반복적인 작업과 창의적인 작업이 섞여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간을 문서 작성, 자료 조사, 경쟁사 분석 같은 반복 업무에 쏟다 보니 정작 중요한 ‘기획 아이디어 구체화’에는 시간을 충분히 쓰지 못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보고서의 완성도도 떨어지고, 팀원들과의 협업 속도도 늦어졌습니다.2. AI 활용 시작 계기한 번은 .. 2025. 8. 14.
비전공자 서비스 기획자를 위한 데이터 분석 기초와 실무 적용 방법 서비스 기획자는 단순히 아이디어를 내는 사람을 넘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내리는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특히, 오늘날의 디지털 서비스는 수많은 데이터를 생산하고 이를 분석하여 서비스 개선, 마케팅 전략 수립, 고객 경험 향상 등에 활용합니다. 그러나 비전공자 입장에서 데이터 분석은 어렵고 낯설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데이터 분석의 기본 개념부터 실무 적용 방법까지, 기획자 시각에서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1. 데이터 분석이 중요한 이유데이터 분석은 단순히 숫자를 보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를 발견하며,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과정입니다. 직관에만 의존한 기획은 실패 확률이 높지만, 데이터 기반 기획은 성공 가능성을 높여줍니다.예를 들어, 앱의 특정 기능.. 2025. 8. 14.